본문 바로가기
경제 시사

"삼성의 HBM4 승부수! 엔비디아와 구글이 주목한 메모리 혁명"

by ILoveMuMu 2025. 5. 1.
728x90
반응형

 

🧠 HBM이란 무엇인가요?

HBM(High Bandwidth Memory)은 고성능 컴퓨팅을 위한 초고속 메모리입니다. 특히 AI, 데이터 센터, 고사양 GPU 등에 필수적인 부품으로, 일반적인 DRAM보다 훨씬 빠른 속도와 낮은 전력 소비가 특징입니다.

📈 삼성전자 2024년 1분기 실적 요약

구분  매출 (조 원)  영업이익 (조 원)
전체 71.9 6.6
반도체 23.1 1.9
스마트폰 33.4 4.3
디스플레이 6.0 0.3
TV/가전 12.4 0.3

출처: 삼성전자 공식 IR


🔍 왜 HBM4가 중요한가요?

HBM 시장은 AI와 초거대 언어모델(LLM)의 발전으로 폭발적인 수요가 예측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차세대 HBM4 메모리를 통해 기존의 HBM3E 대비 다음과 같은 기술적 진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항목  HBM3E  HBM4
대역폭 최대 1.2TB/s 최대 1.5TB/s 이상 예상
소비 전력 중간 더 낮음
공정 기술 1z나노급 4세대 EUV 기반
용량 최대 24GB 최대 32GB 이상

🏭 삼성의 차별화 전략: "맞춤형 HBM4"

삼성은 단순한 제품 판매를 넘어, 고객 맞춤형 HBM4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 고객사가 원하는 전력 효율/속도/호환성 기준에 최적화된 설계
  • AI 서버 최적화를 위한 전용 구조 설계
  • 자체 개발한 "베이스 다이"(Base Die) 패키징 기술로 생산 공정 일원화

이는 특히 엔비디아, 브로드컴, 구글 등 글로벌 AI 선도 기업들의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 경쟁사와의 비교: SK하이닉스 vs 삼성전자

항목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주요 제품 HBM3E, HBM4 맞춤형 HBM3, HBM3E
주요 고객사 엔비디아, 브로드컴, 구글 등 엔비디아 중심
생산 전략 베이스 다이 활용, 수직계열화 TSMC 패키징 위탁
기술 경쟁력 128GB DDR5 양산, EUV 공정 빠른 시장 선점

SK하이닉스는 시장 점유율 선두를 지키고 있지만, 삼성은 기술력과 공급 안정성으로 격차를 좁혀가고 있습니다.


🔮 앞으로의 전망

  • 2024년 하반기부터 HBM4 양산 본격화 예상
  • 글로벌 AI 반도체 수요 폭증에 따른 수주 확대 전망
  • 128GB DDR5 등 초고용량 메모리 시장도 동시 공략

삼성의 전략은 단순한 가격 경쟁이 아닌, 기술 기반의 프리미엄 제품 공급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정리하며

삼성전자는 맞춤형 HBM4와 128GB DDR5 등 차세대 메모리 시장에서의 확고한 입지를 다지며, 반도체 경쟁의 지형을 바꾸고 있습니다. AI 기술의 발전 속도에 발맞춰, 고객 맞춤형 전략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금 증명하고 있죠.

기술과 전략,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삼성의 도전이 앞으로 어떤 결과를 보여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 관련 링크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