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시사

빛으로 인터넷을 쏜다! 알파벳 ‘타아라(Taara) 칩’의 혁신

by ILoveMuMu 2025. 3. 4.
728x90
반응형

인터넷이 없는 세상은 상상하기 어렵다. 하지만 여전히 전 세계에는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는 지역이 많다.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Alphabet)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빛을 이용한 무선 인터넷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그 핵심이 바로 타아라(Taara) 칩이다.

타아라 칩은 기존의 광섬유 케이블 없이도 빛을 이용해 초고속 인터넷을 전송하는 기술로, 특히 광섬유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서 혁신적인 해결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과연 타아라 칩은 어떤 원리로 작동하며, 기존 인터넷 기술과 비교해 어떤 장점이 있을까?


1. 타아라 프로젝트란?

타아라(Taara)는 알파벳의 연구개발 조직인 **X(문샷 팩토리, Moonshot Factory)**에서 개발한 기술이다. 이 프로젝트는 원래 구글의 **프로젝트 룬(Project Loon)**에서 시작되었는데, 하늘에 띄운 기구(풍선)를 통해 인터넷을 제공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프로젝트 룬이 2021년 중단되면서, 그 기술을 기반으로 새로운 대안이 등장했다.

타아라는 광무선(Wireless Optical Communication, WOC) 기술을 활용해 초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위성 인터넷이나 광섬유망과는 차별화된 장점을 가진다.


2. 타아라 칩의 작동 원리

타아라 칩은 기존 타아라 기술보다 더욱 혁신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기존 방식(타아라 라이트브릿지, Lightbridge)
    • 거대한 장비(신호등 크기)가 필요
    • 물리적으로 거울과 센서를 조정해 빛의 방향을 맞춰야 함
    • 광학적 정렬이 필요하여 설치와 유지보수가 어려움
  • 새로운 방식(타아라 칩)
    • 손톱 크기의 실리콘 포토닉 칩(Silicon Photonic Chip) 사용
    • 소프트웨어 기반 자동 조정으로 빛을 정렬
    • 유지보수 비용이 낮고, 대규모 확산이 용이

타아라 칩은 공기 중에서 매우 좁은 적외선 빔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존의 광섬유 인터넷이 빛을 케이블 속에서 이동시키는 것과 달리, 타아라는 공중에서 빛을 직접 쏘아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이다.


3. 타아라의 인터넷 속도와 범위

타아라 기술은 현재 실험실 테스트에서 다음과 같은 성과를 거두었다.

기술 최대 속도 전송 거리 설치 시간
광섬유 인터넷 1~10 Gbps 수백~수천 km 몇 개월~수년
위성 인터넷 (스타링크) 100~300 Mbps 수천 km 몇 주
타아라 칩 최대 20 Gbps 최대 20km 며칠 내 설치 가능

타아라 칩은 단거리(수십 km 이내)에서는 광섬유 수준의 속도를 제공하면서도 설치가 훨씬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4. 타아라 칩의 장점

  1. 빠른 설치 → 광섬유처럼 땅을 파서 케이블을 설치할 필요 없음
  2. 낮은 비용 → 케이블 없이 공중에서 직접 연결 가능
  3. 친환경적 → 기존 인터넷 인프라보다 탄소 배출 감소 가능
  4. 유연한 연결 → 강, 산, 오지 등 광섬유 설치가 어려운 지역에도 적용 가능

실제로 알파벳은 아프리카 콩고강을 가로질러 타아라 시스템을 구축하는 실험을 진행했으며, 이 기술이 다양한 환경에서 성공적으로 작동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5. 타아라의 한계와 과제

그러나 타아라 칩에도 몇 가지 한계가 있다.

  • 기후 영향 → 안개, 비, 먼지가 많은 환경에서는 신호가 약해질 수 있음
  • 거리 제한 → 현재 기술로는 광섬유만큼 장거리를 전송하기 어려움
  • 기술 안정성 검증 필요 → 광섬유 대비 아직 대규모 실증 사례 부족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알파벳은 더 많은 발광 소자를 탑재한 차세대 칩을 개발 중이며, 2026년까지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6. 타아라 vs. 기존 인터넷 기술 비교

비교 항목 타아라 칩 광섬유 인터넷 위성 인터넷(스타링크)
속도 최대 20 Gbps 최대 10 Gbps 100~300 Mbps
설치 속도 며칠 몇 개월~수년 몇 주
비용 저렴 높음 중간
지연 시간 낮음 매우 낮음 높음
기후 영향 있음 없음 적음

위 표를 보면 타아라 칩은 빠른 속도와 낮은 비용으로 단거리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데 강점을 갖고 있다.


7. 타아라가 가져올 인터넷 혁신

타아라 칩이 상용화된다면, 세계적으로 인터넷 환경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개발도상국 인터넷 보급 – 인프라 부족 지역에 초고속 인터넷 제공
자연재해 지역 복구 – 지진, 홍수 등으로 망이 끊긴 지역에서도 빠른 인터넷 복구 가능
군사 및 보안 통신 – 유선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고속 데이터 전송 가능

특히 메타버스, 스마트 시티, 자율주행 등 차세대 기술과 결합하면 타아라는 훨씬 더 큰 가치를 발휘할 수 있다.


8. 타아라는 미래의 인터넷이 될 수 있을까?

알파벳의 타아라 칩은 기존 인터넷 기술의 단점을 보완하면서도 빠르고 효율적인 인터넷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물론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지만, 만약 상용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타아라는 세계 인터넷 연결 방식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가능성이 크다.

2026년 출시될 타아라 칩이 인터넷 혁명의 새로운 장을 열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