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I 관련 정보

KT, AI 안 쓰면 도태된다? 전면 적용된 AI 전략의 모든 것

by ILoveMuMu 2025. 4. 17.
728x90
반응형

최근 KT가 던진 선언이 업계를 흔들고 있습니다.
“지금이 골든타임(Golden Time)이다. 이 기회를 놓치면 생존이 어렵다.”
이 말 한마디는 단순한 구호가 아닙니다.
KT는 이제 ‘모든 콘텐츠에 AI를 적용한다’는 초강수를 꺼냈고, 이는 단순한 기술 도입이 아니라 생존 전략의 일환입니다.

그렇다면 KT가 말하는 AI 전략이란 무엇이며, 왜 지금 이 시점에서 AI가 중요한 걸까요?


KT의 ‘미디어 뉴웨이’ 전략이란?

KT는 지난 4월 16일, 자사의 새로운 미디어 전략인 **‘KT 미디어 뉴웨이’**를 공식 발표했습니다.
핵심은 단순합니다.
KT가 보유한 IPTV(지니TV) 플랫폼부터 콘텐츠 제작, 고객 서비스까지 모든 미디어 영역에 AI를 전면 도입하겠다는 것입니다.

이 전략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와 협업해 추진되고 있으며, 단순한 기술 제휴를 넘어 KT 자체 플랫폼에 AI를 내재화하려는 움직임입니다.


AI, 어떻게 적용되나? — GPT-4 기반 한국형 AI 모델 도입

KT는 GPT-4 기반의 한국형 AI 모델을 활용해, 기존의 단순 음성명령 수준을 넘는 ‘초거대 AI 전환’을 꾀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채널 바꿔줘”, “뉴스 틀어줘” 정도의 명령이 AI의 한계였다면,
앞으로는 시청자의 감정, 취향, 과거 행동 데이터까지 분석해 개인 맞춤형 콘텐츠 추천이 가능해집니다.

KT는 이를 위해 **AI 스튜디오 랩(AI Studio Lab)**이라는 전문 조직을 신설하고, AI 기술을 미디어 전반에 접목시키는 작업에 착수했습니다.


콘텐츠 제작부터 유통까지 AI가 책임진다

AI 스튜디오 랩은 단순한 기술 연구소가 아닙니다.
콘텐츠 기획부터 제작, 편집, 마케팅, 유통까지 AI가 관여하는 구조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는 영화나 드라마의 트렌드를 분석하고, 어떤 소재가 인기 있을지를 예측해 기획에 반영합니다.
편집 과정에서도 장면 구성과 색보정, 자막 생성까지 자동화가 가능해져 제작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습니다.


홈쇼핑도 AI가 도와준다 — 예측 분석으로 매출 상승

KT는 홈쇼핑 방송에도 AI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상품별 판매량, 시청률, 구매 전환율 등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어떤 시간대에 어떤 제품이 잘 팔릴지 예측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AI 분석은 홈쇼핑 운영자에게 매출을 높일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하고, 고객에겐 더 필요한 제품이 노출되도록 돕습니다.


고객경험(CX)까지 혁신 — 1,400만 명에게 AI 제공

KT는 AI 기술을 지니TV뿐 아니라 KT스카이라이프, HCN 등 자회사 플랫폼에도 확장 적용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약 1,400만 명 이상의 고객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것이 목표입니다.
단순한 콘텐츠 소비가 아니라, 고객의 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개인화된 추천, UI/UX 개선, 음성 인터랙션 향상 등도 함께 이뤄질 예정입니다.


콘텐츠 IP 사업까지 확장 — 'Next IP Studio' 설립

KT는 콘텐츠 자체를 직접 만드는 IP(지식재산) 사업도 적극 확대합니다.
이를 위해 **‘Next IP Studio’**를 설립하고,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해 광고 기반 무료 스트리밍 플랫폼 ‘패스트(Fast)’에 송출하는 모델을 추진 중입니다.

KT는 콘텐츠 제작을 단순 유통에서 벗어나 지속 가능한 IP 자산으로 성장시키겠다는 의지를 밝히며,
내년까지 이 분야에 5,0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약속했습니다.


KT 미디어 매출 변화 — AI 도입의 영향은?

KT가 AI 전략을 발표하면서 언급한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는 매출 변화입니다.

아래 표는 KT의 미디어사업 부문 매출 추이입니다.
(단위: 억 원)

연도 미디어 매출 비고
2021년 1조 9387억 AI 미도입
2022년 2조 110억 AI 시범 적용
2023년 2조 571억 AI 단계적 도입
2024년(예상) 2조 826억 AI 전면 도입 발표 후

출처: KT 공식 보도자료

매출은 꾸준히 증가 중이며, AI가 도입되면서 성장 속도도 함께 가속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기업들과 비교해보면?

KT만이 AI에 주목하는 것은 아닙니다.
**넷플릭스(Netflix)**는 AI를 이용해 사용자의 시청 데이터를 분석하고, 개인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디즈니+**는 AI로 자사 콘텐츠의 시청률과 반응을 분석하며 차기 시리즈 제작에 반영하고 있습니다.

기업 AI 적용 분야 특징
KT IPTV, 홈쇼핑, 콘텐츠 제작, IP 국내 최초 전방위 AI 적용 선언
넷플릭스 추천 알고리즘, 시청 데이터 분석 AI로 개인화 경험 강화
디즈니+ 콘텐츠 분석, 제작 계획 빅데이터 기반 AI 분석 반영

지금이 골든타임

KT는 말합니다.
“지금이 골든타임이다. 이 기회를 놓치면 생존이 어렵다.”
AI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무기입니다.

KT는 AI 기술을 통해 미디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콘텐츠 시장에서 자리를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KT의 AI 전략이 실제 어떤 성과로 이어질지, 관심 있게 지켜봐야 할 시점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