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보험이 다 되는 건 아니라고요? 급여 vs 비급여, 병원비의 차이를 알려드립니다

by ILoveMuMu 2025. 4. 16.
728x90
반응형

💡 병원비는 왜 이렇게 다를까?

– 한국 건강보험의 ‘급여’ vs ‘비급여’ 완전 정복


🏥 같은 병원인데 왜 병원비가 다를까요?

같은 병원, 같은 진료라도 어떤 사람은 몇 천 원만 내고, 어떤 사람은 수십만 원을 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차이는 바로 **‘급여’와 ‘비급여’**라는 건강보험의 구조에서 시작됩니다.
이 개념만 이해하면, 병원비가 왜 달라지는지, 어떤 치료가 부담이 큰지 명확히 알 수 있습니다.


✅ 급여(給與)란?

‘급여’는 나라가 도와주는 진료 항목을 말합니다.
한자 의미로도 給(줄 급), 與(줄 여) 모두 “준다”는 뜻이죠.
즉, 건강보험에서 “이건 꼭 필요한 진료니까 나라가 돈을 보태줄게” 라고 인정한 항목입니다.

📌 급여 항목 특징

  • 건강보험이 70% 부담, 본인은 30%만 부담
  • 병원비가 상대적으로 저렴
  •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기본적인 진료, 검사, 약 중심

✅ 대표 급여 항목 예시

  • 감기 진료, 엑스레이, 혈액검사
  • 맹장 수술, 입원비, 일부 MRI 검사
  • 고혈압·당뇨 등 만성질환 치료

❌ 비급여(非給與)란?

‘비급여’는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항목입니다.
한자 뜻 그대로 非(아닐 비) + 給與(급여) = "나라가 안 주는 혜택"이죠.
즉, 100% 전액 본인 부담, 건강보험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 비급여 항목 특징

  •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음
  • 병원마다 가격 차이 존재
  • 선택적 진료, 편의성 중심, 최신기술 또는 미용 목적 치료 다수 포함

📊 급여 vs 비급여 비교표

구분 급여 비급여
건강보험 적용 O X
본인부담률 30% 내외 100%
적용 항목 꼭 필요한 치료 선택 치료 또는 편의 치료
가격 정해진 기준 있음 병원마다 다름
예시 엑스레이, 입원비, 일반 수술 도수치료, 로봇수술, 치아미백

🧾 주요 비급여 항목 구체적으로 보기

항목 설명
도수치료 물리치료사가 손으로 근육·관절을 치료함. 비급여.
로봇수술 고가 수술 장비 사용. 대부분 비급여.
치아미백 미용 목적. 건강보험 미적용.
건강검진 고급항목 PET-CT, 전신 MRI 등은 비급여.
보호자 침대·식사 입원 시 편의 항목. 비급여.
다초점 렌즈 삽입 백내장 수술 시 고급 렌즈 선택 시 비급여.
비만약, 성장호르몬 치료(일부) 건강 목적이 아닌 경우엔 비급여 처리.

❗ 비급여에 대한 오해와 진실

  • “도수치료는 꼭 필요한 거니까 급여 아냐?”
    → 꼭 필요해도 건강보험에서 인정하지 않으면 비급여입니다.
  • “건강검진은 국가에서 해주니까 다 무료지 않나?”
    → 기본 항목만 급여. 추가 검사는 대부분 비급여입니다.
  • “병원비가 비싸면 무조건 비급여겠지?”
    → 아닙니다. 급여 항목도 고가 진료가 많을 수 있습니다.

🏛️ 정부는 비급여를 줄이려는 중

비급여는 환자 부담이 크고 병원마다 차이가 커서 정부는 이를 관리하고 줄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 주요 정책 흐름

  • 2021년: 비급여 가격 공개 의무화
  • 2022~2024년: 도수치료, 치과 등 일부 항목에 대해 급여 전환 시범사업
  • 앞으로: 로봇수술, 고급 백내장 렌즈 등도 급여 전환 가능성 검토 중

📎 보건복지부 비급여관리 정책 바로가기


🔎 비급여 항목, 이렇게 확인하세요

  1. 진료 전 병원에 물어보기
    → "이거 비급여예요?" 하고 직접 묻는 게 가장 빠름
  2. 진료비 상세 내역서 받기
    → 진료 후에 항목별로 급여/비급여 구분돼 있음
  3. 공식 포털 이용
    →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비급여 진료비 정보

💡 마무리 요약

  • 급여는 건강보험 적용 → 나라가 도와줘서 부담이 적음
  • 비급여는 보험 적용 없음 → 전액 본인 부담
  • 정부는 비급여를 줄이려고 정책적으로 정비 중
  • 병원 가기 전 반드시 급여·비급여 여부를 확인할 것!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