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당신 발밑이 무너진다" – 서울 지하에 감춰진 3300km의 공포

by ILoveMuMu 2025. 4. 16.
728x90
반응형

서울, 대한민국의 심장부. 하지만 이 번화한 도시의 땅 아래에는 조용한 위기가 도사리고 있습니다. 바로 "노후 하수관"입니다. 최근 서울시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서울시 하수관 총연장 약 1만868km5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이 무려 3300km, 전체의 **30.4%**에 달한다고 합니다.

왜 노후 하수관이 문제일까요?

노후 하수관은 단순히 오래되었다는 것이 문제가 아닙니다. 세월이 흐르면서 내부가 부식되거나 균열이 생기고, 관과 관 사이의 틈으로 물이 새어나가면서 지하 공간을 파내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틈이 점점 커지면 결국 지반침하, 즉 싱크홀(Sinkhole) 이 발생하게 됩니다.

서울 한복판에서 언제든지 도로가 꺼질 수 있다니, 상상만으로도 아찔합니다. 실제로 2024년 초 종로구에서 발생한 싱크홀 사고는 이 문제의 심각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주었습니다.

서울시 노후 하수관 비율 TOP 7

서울 25개 자치구 중 노후 하수관 비율이 가장 높은 7개 지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순위 자치구 50년 이상 노후 하수관 비율 (%)
1 종로구 53.5
2 용산구 48.5
3 성북구 47.7
4 영등포구 45.7
5 마포구 45.4
6 구로구 43.5
7 성동구 42.2

이러한 수치는 단순한 통계가 아니라, 시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특히 종로구는 서울의 행정과 역사 중심지인 만큼 그 위험도는 더욱 높습니다.

서울시의 대응은 충분할까?

서울시는 현재 지하를 정밀 탐지할 수 있는 GPR(지표투과레이더) 장비를 활용하여 하수관 상태를 점검하고 있으며, 연간 약 100km씩 정비 중입니다. 그러나 문제는 속도입니다. 현재의 속도로는 전체 노후 하수관을 정비하는 데 33년 이상이 걸립니다.

서울시의 하수관 관리 현황 및 정비계획은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전국으로 확산되는 하수관 노후화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향후 30년 내 전국 하수관 중 6028km가 50년 이상 노후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문제는 더 이상 서울만의 문제가 아닌, 전국적인 사회 인프라 위기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하수관 노후화 관련 정책 및 통계는 국토교통부 도시물관리시스템에서 자세히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요?

  •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예산 확대 및 신속한 교체 작업 추진
  • 시민들에게 위치 정보 및 점검 결과 투명하게 공개
  • 지하안전교육 강화 및 재난 대응 시스템 정비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민의 관심과 감시입니다. 도로가 꺼진 다음에야 정비하는 '사후처리'보다, 지금 이 순간 '예방'이 더 절실합니다.


서울의 지하를 안전하게 만들기 위한 첫걸음은 '알아차리는 것'입니다. 내 발 아래, 내가 사는 도시의 땅 아래에 어떤 위험이 도사리고 있는지를 아는 것. 이제는 우리가 눈을 돌려야 할 때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