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시사

관세폭탄? 오히려 기회! 미국도 반한 K-푸드 수출 폭발적 증가

by ILoveMuMu 2025. 3. 26.
728x90
반응형

한류의 인기가 이제는 문화뿐만 아니라 식탁까지 확장되고 있습니다. 세계 곳곳에서 한국산 라면, 과자, 인삼을 찾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소식, 들어보셨나요? 특히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으로 관세 이슈가 불거졌음에도 불구하고 K-푸드 수출이 오히려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도대체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걸까요?


K-푸드 수출, 2025년에도 성장세 '쭉'

2025년 1월 기준, 한국 농식품 및 농산업 수출액은 약 **3조 5500억 원(24억 24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7.2% 증가한 수치입니다. 단순히 라면이나 김치만이 아니라 과자, 인삼, 쌀 가공식품 등 다양한 품목이 고르게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출처: 농림축산식품부 공식 보도자료


미국 수출, 관세 우려도 무색할 정도

도널드 트럼프의 2기 행정부 출범 가능성이 제기되며 관세 이슈가 불거졌지만, 오히려 미국으로의 수출은 19.7% 증가하며 전체 수출 중 가장 높은 비중(17.9%)을 차지했습니다.

미국 수출 주요 품목 비중

품목 수출 증가율 비고
라면 +29% 전체 가공식품 중 1위
과자 +8% 안정적인 수요 유지
쌀 가공식품 +2% 김밥, 떡볶이 키트 인기
인삼 +150% 건강식품으로 주목 받는 중

미국인들에게는 라면과 인삼이 가장 큰 사랑을 받고 있으며, 특히 K-드라마와 유튜브 콘텐츠에서 등장하는 음식들이 실제 소비로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유럽·중동도 뜨겁다! 일본·중국은 주춤

수출이 미국에만 집중된 건 아닙니다. 오히려 EU와 중동으로의 수출이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 반면 일본과 중국은 일부 품목의 수요가 감소하며 소폭 하락했습니다.

지역별 수출 증감 비교

지역 수출액(달러) 전년 대비 증가율
미국 3억 4400만 +19.7%
EU 1억 6900만 +22.2%
중동 6900만 +47.2%
일본 2억 6500만 -2.1%
중국 2억 4800만 -1.5%

특히 아랍에미리트(UAE) 수출은 무려 166% 급등하며 중동 시장의 가능성을 보여줬습니다. 반면, 중국은 라면 수출이 103% 증가했지만 과자(-17%)와 조제분유(-25%) 감소로 전체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습니다.


라면의 독주… 신선식품은 다소 아쉬워

가공식품은 고속 성장 중입니다. 전체 수출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라면은 2억 8300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26.3% 성장했습니다. 과자와 소스류도 각각 3.7%, 2.8%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반면, 신선식품 수출은 겨우 0.9% 증가에 그쳤습니다. 이는 딸기, 배, 파프리카 등 주요 품목이 기후 변화로 인해 생산량이 줄어든 영향이 큽니다.

신선식품 품목별 수출 증감

품목 수출 증감률
포도 +39.9%
닭고기 +14.5%
딸기 -0.9%
-26.8%
파프리카 -6.6%
김치 -5.6%

정부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수출 규격 통일화, 생육 관리 강화 등의 대책을 준비 중입니다.

관련 정책 보기: 농림축산식품부 신선식품 수출대책


농산업 수출도 상승세… 브라질·인도에 종자 인기

가공식품 외에도 농산업 부문도 주목할 만합니다. 특히 농약 수출이 48.6% 증가, 종자 수출은 107.6% 급등했습니다.

농산업 품목별 수출 증감

품목 수출액(달러) 전년 대비 증가율
농기자재 4억 2800만 +12.1%
농약 1억 3600만 +48.6%
종자 760만 +107.6%
농기계 2억 900만 -2.3%

브라질, 인도, 미국 등지에서 한국산 종자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농업 기술력 수출로도 연결될 수 있는 긍정적 신호입니다.

농산업 수출 지원 정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전 세계가 반한 K-푸드, 지금이 기회다

K-푸드의 성장세는 단순한 유행이 아닙니다. 콘텐츠와 함께 성장하는 식문화 산업으로서의 가능성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미국발 관세 이슈에도 흔들리지 않는 이유는 바로 콘텐츠의 힘, 품질의 경쟁력 덕분이죠.

정부와 업계가 함께 대응한다면, K-푸드는 더 넓은 세계로 나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은 어떤 K-푸드를 가장 좋아하시나요? 댓글로 알려주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