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관련 정보

WLTP vs. 한국 기준(K-EV, 국내 공인 주행거리) 차이

by ILoveMuMu 2025. 2. 23.
728x90
반응형

WLTP vs. 한국 인증 기준(K-EV)의 주요 테스트 조건 차이

WLTP(Worldwide Harmonized Light Vehicles Test Procedure)와 한국 전기차 인증 기준(K-EV)은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측정하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한국 기준은 실제 주행 환경을 더 엄격하게 반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1. 테스트 주행 패턴 차이

구분 WLTP (유럽 기준) K-EV (한국 환경부 기준)
평균 속도 약 46.5km/h 약 39km/h
최고 속도 131km/h 110km/h
주행 모드 저속, 중속, 고속, 초고속 4단계 도심, 교외, 고속도로 3단계
가속/감속 패턴 현실적인 가감속 반영 더 보수적인 가감속 반영
테스트 주행 거리 약 23km 약 17km

🔹 한국 기준(K-EV)은 평균 속도가 낮고 주행 패턴이 더 현실적 → WLTP 대비 주행거리가 10~20% 짧게 측정되는 경향

2. 외부 환경 차이

구분 WLTP K-EV
온도 조건 23±5℃ (여름철 기준) -7℃, 23℃ (겨울철 포함)
배터리 상태 완충 후 테스트 완충 후 테스트
도로 환경 주로 유럽 도시 도로 기준 한국 도로 및 기후 반영

🔹 한국 기준(K-EV)은 겨울철(-7℃) 주행 테스트 포함겨울철 주행거리가 짧게 측정되는 경향
🔹 WLTP는 실온(약 23℃)에서만 테스트 → 배터리 성능이 최적으로 유지된 상태


3. 전비(연비) 계산 차이

구분 WLTP K-EV
주행거리 산출 방식 전체 테스트 후 평균값 반영 저온(겨울철)과 실온 주행 데이터를 종합해 보수적 측정
전력 소모 반영 공조(에어컨·히터) 사용 고려 공조 사용을 더욱 현실적으로 반영

🔹 한국 환경부 인증(K-EV)은 전비(연비) 계산 시 겨울철 주행 데이터를 포함 → 실제 주행 환경과 더 비슷한 수치 제공


  • WLTP는 실주행 데이터를 반영하지만, 한국 기준(K-EV)보다 다소 관대함
  • 한국 환경부 기준(K-EV)은 겨울철 조건을 포함해 더 보수적으로 측정됨
  • WLTP 기준의 주행거리는 한국 기준으로 변환하면 10~20% 감소하는 경향

따라서 WLTP 기준으로 70km 주행 가능한 전기차라면, 한국 기준으로는 약 55~65km가 될 가능성이 큼.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