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정보

학생은 줄고 예산은 폭증? “20년간 340만명 감소했는데 교육예산은 매년 증가”의 비밀

by ILoveMuMu 2025. 3. 31.
728x90
반응형

대한민국의 학령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35년까지 초중고 학생 수는 약 340만 명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같은 기간, 교육재정은 오히려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도대체 왜 그럴까요?


📊 교육교부금, 매년 7% 증가

교육교부금은 **내국세의 20.79%**를 지방교육청에 자동으로 배정하는 구조입니다. 문제는 학생 수나 교육환경 변화와 무관하게, 세금이 늘어나면 교부금도 자동으로 늘어난다는 점입니다.

구분 2016년 2024년 연평균 증가율
교육교부금 약 43조원 약 73조원 6.9%
명목 GDP - - 4.3%

출처: 기획재정부

즉, 경제성장률보다도 빠르게 예산이 늘어나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 학생 수는 줄고 있는데 돈은 어디에?

전국 초중고 학생 수는 매년 줄어들고 있습니다.

  • 2003년: 약 7,481,000명
  • 2023년: 약 5,191,000명

반면, 각 교육청은 늘어난 예산을 다 쓰지 못하고 해마다 수조 원씩 이월하거나 불용 처리하고 있습니다.

연도 미집행 예산 규모
2019~2023 누적 약 31조 원

출처: 지방교육재정알리미


🔍 문제의 핵심: 법으로 고정된 교부율

교육교부금 제도는 1972년 도입 당시 **11.8%**였던 교부율이 현재는 **20.79%**까지 올라왔습니다. 이는 국회의 합의만 있으면 변경할 수 있지만, ‘교육 예산 삭감’이란 정치적 부담 때문에 개편 논의가 더디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한편, 2023년부터는 일부 교육세가 고등 및 평생교육에 활용되고 있으나, 여전히 대부분은 초중등 교육에만 쓰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앞으로의 방향은?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대안을 제시합니다:

  1. 교부율을 낮추고 GDP 증가율과 연동하는 방식
  2. 교육세 일부를 대학 및 직업교육으로 전환
  3. 교육청의 재정 효율성 점검과 구조조정

이러한 개편을 위해서는 단순히 기재부의 추진만으로는 부족하며, 정치권과 교육계의 공동 의사결정이 필수적입니다.


🚀 마무리하며

저출생으로 인한 인구 감소는 피할 수 없는 현실입니다. 그에 맞춰 교육 재정도 현명하고 효율적으로 운용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예산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곳에 제대로 쓰이도록 하는 구조 개편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728x90
반응형